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청년도약계좌 핵심 간단 정리

by 캐시 샌드위치 2023. 3. 13.
반응형

오는 6월 출시를 목표로 월 70만원씩 5년간 저축하면 최대 5,000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금융위원회의 중간 발표가 있었습니다. 아직 금리 수준은 미정으로 취급기관을 모집하기 위한 발표였으며, 그 핵심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섬네일 이미지

청년도약계좌 핵심 간단 정리

1. 가입조건

1) 연령

- 만 19세부터 34세까지 청년. 단, 군대를 다녀온 경우 병역이행 기간 최대 6년까지는 나이 계산 시 미산입

 

2) 소득

- 개인 소득 : 총급여 7,500만원 이하

- 가구 소득 : 중위 180% 이하

단, 총급여 기준 6,000만원 이상인 사람은 정부기여금 지급 없음

 

3) 제외 대상

- 직전 3개년 내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여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던 사람은 가입 제한

 

4) 특이사항

- 청년 내일 저축 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등 고용지원 상품 동시 가입 허용

단, 청년 희망적금의 경우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순차 가입 허용

 

 

2. 상품 정보

- 5년 만기, 매월 70만원 한도 자유 납입 상품

단, 개인 소득 총급여 기준 4,800만원 이하는 월 40만원에서 60만원까지 납입하더라도 정부기여금 모두 수령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 별 기여금 지급 구조는 아래 표 참조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 별 기여금 지급 구조 이미지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3. 금리

- 가입 후 3년 고정금리 + 이후 2년 변동금리

단, 3년 이후도 고정금리 적용할 수 있는 상품 출시도 협의 예정

 

또한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저소득층 청년은 우대금리 적용 협의 예정

 

4. 중도해지

- 일반적인 중도해지는 본인 납부액만 지급되고, 비과세 혜택 및 정부기여금 받을 수 없음

단, 아래의 특별중도해지 사유 적용 대상의 경우 정부기여금 지급 및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음

① 가입자의 사망

② 가입자의 퇴직 및 해외 이주

③ 질병으로 인한 장기치료

④ 사업장 폐업

⑤ 생애최초 주택 구입

⑥ 천재지변

 

 

5. 청년도약계좌 Q&A

1) 가입 이후 만 34세가 넘어가면 어떻게 되나요?

- 가입 당시만 만 19세~34세 조건에 들면 되고, 가입 후에는 연령이 넘어가도 상관없습니다.

 

2) 가입 이후 소득에 변동이 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 1년 주기로 유지심사를 통해 개인소득의 변동을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정부기여금 지급 여부 및 규모를 조정합니다.

단, 비과세 혜택은 소득에 변동이 있더라도 만기 시까지 유지됩니다.

 

3) 가구원 변동으로 인해 가구 소득의 변동도 유지심사를 받나요?

- 가구원 변동으로 인한 가구 소득의 변동은 개인소득의 변동과는 달리 유지심사 대상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독립, 사망, 이혼 등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변동으로 불이익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4) 6월이 지나면 가입할 수 없나요?

- 취급기관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지만 현 계획으로는 올해 12월까지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도록 할 예정입니다.

 

금융위원회는 금번 중간 발표를 통해 취급기관을 모집한 후 최종 협의를 거쳐 금리 및 가입 시기 등에 대해 최종 공지할 계획이라고 하니, 가입조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최종 안내를 참조하시어 가입하시기를 바랍니다.

 

2023.03.06 - [생활정보] - 국민 내일배움카드 자격별 신청 서류 및 핵심 질문

 

국민 내일배움카드 자격별 신청 서류 및 핵심 질문

자기 계발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최대 월 5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다는 것을 아셨나요.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고 국민 내일배움카드 지원금을 꼭 신청하시기를 바랍니다. 국민

pintofguinness.tistory.com

2023.02.06 - [생활정보] - 알뜰교통카드 비교 및 신청 방법 한눈에 보기

 

알뜰교통카드 비교 및 신청 방법 한눈에 보기

우리가 매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서 돈을 아낄 수 있다면 그 효과도 가장 크지 않을까요. 평소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이동한 거리를 마일리지로 적립하여 대중교통비를 30%까지 아낄 수 있는

pintofguinness.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