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 가격 및 금리 상승으로 인해 서민 및 청년, 신혼부부의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고 있어 정부는 청년 및 신혼부부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금리를 동결하고, 한도를 증액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그러면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 무엇이고, 변경된 금리 및 한도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근로자 및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주택도시기금에서 보증하고 시중은행에서 낮은 금리로 대출해 주는 주택 전세자금 대출로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 대출로 구분합니다.
특히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상품 중 청년 및 신혼부부를 위한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은 최저 연 1.8%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대비 최저 연 1.2% 또는 연 1.5%를 적용받을 수 있어 젊은 수요층들에 효율적인 대출 상품입니다.
대상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차이
기존
구분 |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신혼부부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대출 대상 | 부부합산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 가액 3.25억 원 이하, |
부부합산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 가액 3.25억 원 이하,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부부합산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 순자산 가액 3.25억 원 이하, 신혼부부 |
대출 금리 | 연 1.8%~2.4% | 연 1.5%~2.1% | 연 1.2%~연 2.1% |
대출 한도 | 수도권 1.2억 원, 비수도권 0.8억 원 이내 |
최대 7천만 원 이내 (임차보증금의 80% 이내) |
수도권 2억 원, 비수도권 1.6억 원 (임차보증금의 80% 이내) |
대출 기간 | 2년 (4회 연장, 최장 10년) |
2년 (4회 연장, 최장 10년) |
2년 (4회 연장, 최장 10년) |
변경 계획
구분 |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신혼부부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대출 한도 | 기존 동일 | 최대 2억 원 이내 | 수도권 3억 원, 비수도권 2억 원 |
대출 금리 | 기존 동일 (2022년 연말까지 금리 동결) |
대출 금리 산정방식
대출 금리 산정은 시중은행에서 자율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며, 연 소득 및 임차보증금 액수에 따라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금리에 따라 결정합니다.
임차보증금 (우측) | 5천만 원 이하 | 5천만 원 초과 1억 원 이하 |
1억 원 초과 1.5억 원 이하 |
1.5억 원 초과 | ||||||||
부부 합산 연 소득 (아래) | 일반 | 청년 | 신혼 | 일반 | 청년 | 신혼 | 일반 | 청년 | 신혼 | 일반 | 청년 | 신혼 |
2천만 원 이하 | 1.8% | - | 1.2% | 1.9% | 1.5% | 1.3% | 2.0% | - | 1.4% | 2.0% | - | 1.5% |
2천만 원 초과 4천만 원 이하 | 2.0% | - | 1.5% | 2.1% | 1.8% | 1.6% | 2.2% | - | 1.7% | 2.2% | - | 1.8% |
4천만 원 초과 6천만 원 이하 | 2.2% | - | 1.8% | 2.3% | 2.1% | 1.9% | 2.4% | - | 2.0% | 2.4% | - | 2.1% |
특히 연 소득의 경우 소득은 세전 기준으로 산정되니,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으로 계산하는 오류를 범하면 안 됩니다.
신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전환 및 목적물 변경도 가능
기존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이용하던 사람이 결혼 후 새로운 신혼 버팀목 대출로 전환이 가능하며, 이 경우 대출 기간도 전환 대출 실행일로부터 다시 최장 10년 동안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대출 기간에 목적물이 변경되더라도 최장 대출 기간 10년에서 기존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기간을 차감하고 나머지 기간 대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대출 기간 1년 이용 후 대환하는 경우 연장 횟수 1회 차감 및 잔여 대출 기간 1년까지 차감되어 신규 버팀목 대출은 3회 연장, 최장 8년이 가능합니다.
또한 자녀 보유 수, 장애인, 노인 부양, 다문화, 고령자 가구,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 등의 경우 추가 금리우대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금리가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1%대 금리는 더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올해 연말까지 일시적으로 금리를 동결하고 신혼부부 및 청년을 대상으로 한도를 증액하는 만큼 전세자금 대출 계획이 있던 분들은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입신고, 확정일자, 전세권 설정등기 차이 및 필요 경우 (0) | 2022.07.27 |
---|---|
월판선 노선, 개통 일정 및 수혜지역 요약 (0) | 2022.07.25 |
GTX란? (0) | 2022.07.20 |
서울시 모아 타운이란? (0) | 2022.07.19 |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0) | 2022.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