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GTX란?

by 캐시 샌드위치 2022. 7. 20.
반응형

최근 윤 대통령이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수도권 국민의 고단한 출퇴근 길 해방을 위하여 GTX 개발을 최대한 서둘러 진행하라고 지시했다는 뉴스를 접하셨을 겁니다. 특히 현재 착공 중인 GTX-A 개통 일자를 앞당기라고 지시했는데, GTX가 무엇이며, GTX 노선별 정차역 및 목표 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TX

GTX란 Great train express의 약자로, 서울시와 경기도 등 수도권 주요 지역을 잇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입니다. GTX 노선은 현재 A, B, C, D 총 4개의 노선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현 정부에서 3개의 GTX 노선을 추가하는 것으로 공약하였습니다.

 

또한 엄밀히 따지자면 기존 GTX 계획은 A, B, C만 계획되어 있었으나, GTX-D 노선의 경우 서부권 급행철도라는 이름으로 사업이 시작되었으나, 노선 및 사업의 특징이 GTX와 비슷하여 GTX-D라는 명칭으로 언론 및 시장에서 언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GTX-D가 GTX 사업에 편입될 수 있을지는 앞으로 정부의 선택을 지켜봐야 합니다.

 

GTX 노선별 정차역 및 목표 일정

GTX-A

GTX-A 노선은 경기도 파주시 운정신도시 운정역과 화성시 동탄신도시 동탄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운정역, 킨텍스역, 대곡역, 창릉역, 연신내역, 서울역, 용산역, 삼성역, 수서역, 성남역, 용인역, 동탄역 총 12개 거점을 운행할 예정입니다.

 

GTX-A 노선은 2019년 6월 착공을 시작으로 2023년 12월까지 동탄역부터 삼성역까지 먼저 개통하고, 나머지 구간인 삼성역부터 운정역까지는 2024년 6월까지 준공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삼성역 개발이 포함된 영동대로 복합개발의 지연으로 인해 운정역부터 서울역, 수서역부터 동탄역 구간의 분리 운영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2028년 4월쯤에나 삼성역까지 포함한 완벽한 개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GTX-B

GTX-B 노선은 인천광역시 송도 국제신도시 인천대입구역과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인천대입구역, 인천시청역, 부평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신도림역, 여의도역, 용산역, 서울역, 청량리역, 상봉역, 별내역, 왕숙역, 평내호평역, 마석역 총 14개 거점을 운행할 예정입니다.

 

GTX-B 노선도 재정 구간인 서울역부터 별내역 구간과 민자 구간인 나머지 구간으로 분리되어 개발되는데, 서울역부터 별내역까지 2024년 초 착공하여 2030년까지 준공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나머지 구간은 2024년 말까지 착공 후 2030년 말까지 준공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 6월 발표된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민간사업자는 재정 구간을 제외하고, 이동수요 등을 고려하여 정거장을 3개소까지 추가 제안할 수 있다고 하여 추후 추가되는 거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GTX-C

GTX-C 노선은 경기도 양주시 덕정역과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덕정역,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왕십리역, 삼성역, 양재역, 정부과천청사역, 인덕원역, 금정역, 의왕역, 상록수역, 수원역 총 14개 거점을 운행할 예정입니다.

 

다른 GTX 노선과 다른 점은 상록수역과 수원역은 금정역에서부터 갈라지는 분기선입니다. GTX-C 노선은 현재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되어 있으며, 2027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서부권 급행철도 (가칭 : GTX-D)

서부권 급행철도 노선은 경기도 김포시 장기역과 경기도 부천시 부천종합운동장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장기역, 검단역, 계양역, 대장 신도시 역, 부천종합운동장역 및 GTX-B와 공용 선로를 사용하여 신도림역, 여의도역, 용산역 총 8개 거점을 운행할 예정입니다.

 

여담으로 GTX 관련 '김부선'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텐데, 바로 이 서부권 급행철도가 최초 발표됐을 때, GTX-B 공용 선로 사용 고려 없이 김포부터 부천까지만 운행하는 급행철도 계획이었으며, 김포 및 부천 주거인들의 출퇴근 지가 제대로 고려되지 않은 채 수요가 없어 보이는 김포와 부천만을 연결한 것이 문제가 되며 '김부선'이라는 약어로 이슈화가 되었습니다.

 

GTX-D, E, F

GTX-D, E, F 노선은 기존 GTX 개발 계획에는 포함이 안 되어 있었으며,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후보 시 공약입니다. GTX-D는 김포부터 남양주 및 여주, GTX-E는 인천에서 구리 및 다산 신도시, GTX-F는 고양, 서울, 수원, 용인, 의정부 등 서울 및 주요 경기 거점을 순환하는 형태로 개발 예정입니다. 단, 2026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만큼 이번 정권 임기 내 착공을 할 수 없는 계획이라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광역철도사업은 다양한 지역을 통과하는 만큼 많은 요구사항과 이슈가 있습니다. 노선별 지역 연장 및 요금 이슈, 추가 역 정차 요구, 은마아파트 지하 통과 반대와 같은 개발 이슈 등 많은 문제를 해결해나가며 진행해야 하는 장기 사업인 만큼 주기적으로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사업을 바라보며, 수혜를 입을 수 있는 지역을 선별하여 투자하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판선 노선, 개통 일정 및 수혜지역 요약  (0) 2022.07.25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란?  (0) 2022.07.21
서울시 모아 타운이란?  (0) 2022.07.19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0) 2022.07.18
신혼희망타운이란?  (0) 2022.07.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