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7월, 9월 재산세 미리 계산 요약

by 캐시 샌드위치 2022. 7. 9.
반응형

어느덧 재산세 납부 기간인 7월이 도래하였습니다. 아마도 많은 분이 재산세에 관해 부담을 느끼면서도 7월, 9월 납부해야 하는 것 외에 어떤 기준으로 부과되는지, 어떻게 계산되는지 등은 면밀히 따져보신 적은 없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산세가 부과되는 기준 및 산정 방식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 개념


재산세는 6월 1일을 기준으로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조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유하신 부동산에 대해 매매를 고려하시는 분들은 6월 전에 매매하는 것이 절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재산세를 처음 납부해보신 분들께서는 7월, 9월에 고지서를 두 번 받아 당황하신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재산세가 두 번에 나누어 부과되는 것은 재산세는 토지, 주택, 건축물에 대해 구분되어 부과되는데, 7월에는 주택분의 2분의 1과 건물분의 재산세를 납부해야 하며, 9월에는 나머지 주택분의 2분의 1과 토지분 재산세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재산세 산정 방식 및 계산


재산세는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하는데, 여기서 과세표준이란 시가표준액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현재 토지는 70%, 주택 및 건물은 60%입니다. 바로 이 공정시장가액비율에 대해 윤석열 정부는 1주택자만 주택분에 대해 60%에서 45%로 경감해줌으로써 세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세율의 경우도 주택, 건축물, 토지를 구분 지어 적용하며, 과세표준이 증가함에 따라 세금도 많아지는 누진세율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1가구 1주택 시가표준액 9억 원 이하 주택에 대해서는 일반세율 대비 낮은 세율을 적용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면 9억 원을 기준으로 주택 재산세율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과세표준 9억원 초과 주택 세율 9억원 이하 주택 세율
6천만원 이하 0.1% 0.05%
6천만원 초과~1억5천만원 이하 0.15% 0.1%
1억 5천만원 초과~3억원 이하 0.25% 0.2%
3억원 초과 0.4% 0.35%

 

자세한 재산세 계산은 지방세 인터넷 납부 시스템인 위택스 지방세 미리 계산에서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재산세 납부 기간 및 납부 방식


재산세는 1기분의 경우 7월 16일부터 31일까지 납부하여야 하며, 2기분은 9월 16일부터 30일까지 납부하여야 합니다.

또한 재산세 납부의 경우 일시납을 원칙으로 하나 재산 세액의 합계가 250만 원을 초과하게 될 경우 분할해서 납부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고 있으며, 납기 일자 다음 날부터 2개월 이내 납부할 수 있습니다. 단, 1차 금액이 2차 금액보다 커야 합니다. 참고로 분할납부는 7월, 9월 각 16일부터 25일까지 신청해야만 가능합니다.

 

물가가 치솟고 있는 요즈음 재산세 납부도 또 하나의 부담인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동산을 보유하신 분들이라면 이번 공정시장가액비율을 낮추는 것은 인플레이션 시대에 조금이라도 비용 부담이라도 덜어줄 수 있는 가뭄의 단비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산업센터란?  (0) 2022.07.10
LTV, DTI, DSR 개념 및 비율과 변경 전망  (0) 2022.07.10
임대차 3법이란?  (0) 2022.07.05
상생 임대인이란?  (0) 2022.07.04
재건축이란?  (0) 2022.07.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