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전월세 보증금을 최대 6천만원까지 지원해 줄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보증금지원형 장기안심 주택' 지원은 공공주택 공급이 아닌 내가 찾은 집의 전월세 보증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것이 최대 장점입니다.
서울시 전월세 보증금 최대 6천만원 지원
1. 지원요건
1) 거주지
모집공고일인 3월 15일 기준 서울시 주민등록 등재자
2) 주택 보유 여부
무주택자
3) 소득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액 100% 이하
단, 만 65세 이상 본인 및 배우자의 부모님 및 조부모님을 3년 이상 모시고 살았을 경우 특별공급 기준 적용
4) 자산
√ 보유 부동산 2억 1550만원 이하
√ 자동차 현재가치 3천 683만원 이하
5) 제외 대상
전세보증금 또는 기본보증금과 전세 전환보증금의 합계가 4억 9천만원 초과하는 무주택자
2. 지원 대상 주택 및 지원액
√ 서울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주택은 전세와 보증금+월세 주택
√ 1인 가구 60제곱미터, 2인 가구 이상 85제곱미터 이하 전용면적 주택
보증금 형태에 따른 지원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3. 보증금 지원 기간
최대 10년, 2년 단위 재계약으로 지원합니다.
단, 재계약 시 일반공급 신청요건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4. 특이 사항
① 전월세 보증금에 대해 주택도시보증공사 HUG 버팀목 대출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대출받는 은행에 서울시 지원 관련 사항을 알려야 합니다.
② 임대차 계약 시 세입자와 SH 서울주택도시공사 공동 임차인으로 계약해야 합니다.
③ 반지하에 거주하고 있던 가구의 지상층 이사에 대해 최대 40만원까지 이사비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④ 재계약 시 10% 이내 전세보증금 인상분의 30%를 무이자 지원합니다.
5. 신청 절차
6. 신청 기간 및 지원자 발표
√ 신청 기간 : 2023년 3월 27일~3월 31일
√ 지원자 발표 : 2023년 6월 2일 예정
앞서 언급했듯이 공공으로 공급하는 주택이 아닌 본인이 원하는 지역에 가족 구성에 맞게 고른 집에 대한 보증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인기가 많은 제도이니 집을 구하실 때 잘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 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쉽게 신청하기 (0) | 2023.03.16 |
---|---|
기관별 아파트 브랜드 인기 순위 총정리 (0) | 2023.03.12 |
3.2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 핵심 요약 (0) | 2023.03.03 |
영등포 자이 디그니티 주변 모든 아파트 시세 비교 총정리 (0) | 2023.02.27 |
1기 신도시 특별법 요약 및 수혜지역 총정리 (0) | 2023.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