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경기도 깡통전세 쉽고 빠르게 확인하기

by 캐시 샌드위치 2023. 1. 3.
반응형

깡통전세 및 전세 사기 등 전세 관련 뉴스가 연일 보도되고 있어 전세를 구하고 있는 사람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경기도에서 전세를 찾고 계신다면 깡통전세 가능성이 높은 집인지 쉽고 빠르게 확인하여 깡통전세를 피하는 법이 있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깡통전세 확인하기 섬네일 이미지

깡통전세가 발생하는 이유는 집값 하락으로 인해 해당 주택의 매매가와 전세가가 역전되어 집을 팔아도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깡통전세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이 전세 계약을 하고자 하는 집의 매매가에서 전세가의 비율을 확인해보는 것입니다.

 

경기도는 '경기부동산포털'을 통해 경기도 부동산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 중 '깡통전세 알아보기'를 통해 전셋집의 깡통전세 가능성 유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깡통전세 확인하는 방법

인터넷 포털 검색창에 '경기부동산포털'을 검색하고 사이트에 들어와서 상단의 메뉴 중 '부동산 가격'에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면 '깡통전세 알아보기'를 찾을 수 있습니다. '깡통전세 알아보기'를 클릭하면 깡통전세 확인하기, 깡통전세 주의사항, 깡통전세 상담센터 바로가기 메뉴를 볼 수 있는데, 이 중 '깡통전세 확인하기'를 통해 깡통전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부동산포털의 깡통전세 확인하기가 다른 부동산 사이트와 차별점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가 70~80%를 넘을 경우 빨간색 네모 칸의 주의문구가 뜹니다. 아파트, 오피스텔, 빌라 명으로 한 번만 검색하면 깡통전세 위험성이 있는 집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깡통전세 확인하기' 메뉴로 들어오면 검색창을 볼 수 있습니다. 단지명, 도로명, 지번을 통해 해당 주택을 찾을 수 있는데, 일부 아파트의 경우 주소로 검색해도 나오지 않을 수 있는데, 당황하지 말고 아파트명으로 검색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깡통전세 확인하기 검색창 이미지
<출처 : 경기부동산포털>

 

검색하면 용적률, 준공 연도, 세대수 등 해당 주택 관련 간단한 기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용면적별 최근 2년 전세가와 매매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앞서 언급한 대로 전세가율이 70~80%를 넘으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빨간색의 네모의 경고 문구를 볼 수 있어 깡통전세 우려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깡통전세 확인하기 경고 문구 이미지
<출처 : 경기부동산포털>

 

전셋집의 깡통전세 간편 검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만, 최근 거래가 없는 주택의 경우 매매가가 없어 경고문구가 뜨지 않으므로, 이럴 경우는 해당 주택의 인근 공인중개사를 방문하여 전문가의 얘기를 들어보고, 등기부등본을 통하여 임대인의 채무 상태를 면밀히 확인하는 등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